[앵커]<br />매주 목요일, 한 주간의 재계와 주요 CEO 동향 살펴보는 시간입니다.<br /><br />오늘도 박주근 CEO스코어 대표와 함께 합니다.<br /><br />요즘 청년들의 취업난과 함께 또 하나 가슴을 아프게 하는 용어가 '금수저', '흑수저'죠.<br /><br />최근에는 '다이아몬드 수저'까지 거론되고 있는데요. 우리나라의 다이아몬드 수저 계급인 재벌 오너 일가의 승진에 대해서 분석하셨다고요?<br /><br />[박주근 / CEO스코어 대표]<br />저희 CEO 스코어에서 오너가 있는 국내 50대 그룹들을 조사해 봤습니다.<br /><br />오너 일가 208명 가운데 현재 경영에 참여하고 있는 177명에 대해 분석했는데요.<br /><br />현재 50대 그룹에서 경영에 참여하고 있는 오너 일가 남성은 140명, 여성은 37명입니다.<br /><br />이들이 임원이 되기까지는 평균 5년이 걸렸습니다. 여성들만 계산하면 3년으로, 더 짧았습니다.<br /><br />저희가 매년 조사하는 30대 그룹들의 임원초임 나이가 평균 52세 정도입니다.<br /><br />남성기준 28세 입사해서 평균 24년 정도 지나야 승진 가능한 것에 비하면 무척 짧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입사와 동시에 임원을 단 경우도 적지 않았는데요. 19명은 임원으로 입사했습니다.<br /><br />대표적으로 신세계그룹의 정용진 부회장과 정유경 사장은 각각 1995년과 96년에 27세, 24세 나이에 신세계 대우이사로 조선호텔 마케팅 상무보로 입사한 경우입니다.<br /><br />반대로 오너 일가인데도 불구하고 사원으로 입사해서 임원승진까지 15년 이상 걸린 분들도 있습니다.<br /><br />LS그룹의 구자엽 LS전선 회장, 구자용 LS네트웍스 회장 등 GS그룹의 허명수 GS건설 부회장 등 대부분이 오너 2세들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의 이른바 '땅콩 회항' 사건으로 오너 3.4세들의 행태가 화두가 되기도 했는데요,<br /><br />오너 3,4세들의 임원승진은 얼마나 빠른가요?<br /><br />[박주근 / CEO스코어 대표]<br />대부분이 입사 10년 이내에 임원승진을 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.<br /><br />30대 그룹 계열사들의 일반 직원 대비 임원의 비율은 평균 1.5% 이내입니다.<br /><br />즉 100명이 입사하면 1명 정도가 임원으로 승진합니다. 이에 반해 오너 일가들은 자신의 의지를 제외한 탈락은 없습니다.<br /><br />오너 2세들의 경력과 승진 통계를 보면 그나마 창업주와 함께 사원에서부터 출발하여 동고동락하면서 기업을 일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3,4세로 넘어가면서 경력과 실력보다는 일가라는 이유만으로 승진의 기회가 더 빠르다는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pn/0490_20170202155030255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